지난 시간에 들이의 덧셈에 관한 내용을 학습했습니다. 두 용기에 담긴 물의 들이를 더하는 상황, 과학 시간에 두 용액을 섞었을 때 몇 mL가 나오는지 활용해보는 등 생활 속에서 또는 교실 속에서 들이의 덧셈을 활용해 볼 수 있었습니다.
들이를 더할 수 있다는 뜻은 들이를 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여러 가지 문제 상황을 보며 들이를 빼는 방법을 공부해봅시다. 아울러 연습문제 20제를 풀어보며 4학년 2학기 수학을 단단히 다져봅시다.
들이의 덧셈에서 살펴보았듯이 들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위는 리터(L)와 밀리리터(mL)입니다.
1L는 1000mL와 같기 때문에, 들이의 뺄셈을 할 때는 리터와 밀리리터의 관계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 200mL에서 300mL를 빼려면, 1L를 1000mL로 바꿔서 1200mL-300mL=900mL로 계산한 뒤, 900mL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단위를 변환하면서 계산하면 들이의 뺄셈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들이의 뺄셈을 할 때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리터와 밀리리터를 따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밀리리터 자리에서 뺄셈이 불가능하면, 리터에서 1L를 빌려 1000mL로 바꾸어 계산합니다. 이렇게 하면 몇 L 몇 mL로 나나타낼 수 있습니다.
[참고] 교육과정에서는 L, mL과 같이 두 단위 이상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복명수라고 합니다.
예) 1L 300mL – 200mL = 1L 100mL
→ 1L 300mL는 1300mL, 200mL는 그대로 두면 1300mL – 200mL = 1100mL입니다.
1000mL는 1L이므로 다시 리터로 바꾸면 1L 100mL가 됩니다.
둘째, 모두 mL로 바꾼 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L와 mL 사이의 단위 변환이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하나의 단위로 나타내는 방법을 교육과정에서는 단명수라고 합니다.
예) 1L 500mL – 300mL = 1L 200mL
→ 1L 500mL는 1500mL, 300mL를 빼면 1500mL – 300mL = 1200mL가 됩니다.
밀리리터 자리에서 뺄셈이 불가능할 때는 리터에서 1L를 빌려야 합니다.
예를 들어 2L 200mL – 800mL를 계산해봅시다.
2L 200mL – 800mL을 계산할 때 200mL – 800mL는 계산할 수 없으므로, 리터에서 1L를 1000mL로 빌려옵니다.
그럼 1L블록이 하나 남고, 200mL블록에서 2칸, 1L블록에서 6칸을 지우면
1L 400mL가 됩니다.
[정리] 들이를 뺄 때 받아내림을 해야 하는 경우, 1L를 1000mL로 받아내림합니다.
들이를 뺄 때에서는 자릿값의 개념이 중요합니다. 밀리리터 단위에서 뺄셈이 불가능하면 리터에서 1L를 빌려 1000mL로 바꾸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들이의 뺄셈은 단위를 바꾸는 과정을 익히고 받아내림의 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1L = 1000mL의 관계를 바탕으로 받아내림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
준비한 학습지는 들이의 뺄셈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연습문제와 받아내림이 없는/있는 들이의 뺄셈을 수록하였습니다.
유리함수란 유리함수는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분수 형태의 함수를 말합니다.즉,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f(x) = \frac{다항식}{다항식}\]…
유리식의 의미 유리식은 두 다항식 A,B에 대하여 $\cfrac{A}{B}$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말합니다.즉, $ \dfrac{식}{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