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수학

유리함수의 그래프 | 공통수학2

유리함수란

유리함수는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분수 형태의 함수를 말합니다.
즉, 다음과 같은 형
태를 가집니다.

\[
f(x) = \frac{다항식}{다항식}
\]

분모가 0이 되는 값을 제외하고 정의되며, 이런 제한 때문에 그래프에서 ‘끊김’, 즉 점근선과 같은 특징이 나타납니다.

예)
\[
f(x)=\frac{2}{x},\quad g(x)=\frac{x+3}{x-1},\quad h(x)=\frac{4}{x^2+1}
\]
은 모두 유리함수입니다.

중학교 수학에서 학습한 반비례 그래프 $y = \cfrac{1}{x}$에서 비롯된 개형이 나타납니다.

[참고] 반비례 그래프 그리기

$y= \cfrac{1}{x}$의 그래프를 그려봅시다.

우선 x가 1,2,3,4,5…일 때 대응하는 y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x12345
y$1$$\cfrac{1}{2}$$\cfrac{1}{3}$$\cfrac{1}{4}$$\cfrac{1}{5}$

이렇게 $(1,1)$, $(2, \cfrac{1}{2})$, $(3, \cfrac{1}{3})$, $(4, \cfrac{1}{4})$, $(5, \cfrac{1}{5})$를 연결하면 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x가 -1, 2, -3, -4, -5…일 때 y의 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1-2-3-4-5
y$-1$$ – \cfrac{1}{2}$$- \cfrac{1}{3}$$- \cfrac{1}{4}$$- \cfrac{1}{5}$

이때 $(-1,-1)$, $(-2, – \cfrac{1}{2})$, $(-3, – \cfrac{1}{3})$, $(-4, – \cfrac{1}{4})$, $(-5, – \cfrac{1}{5})$를 연결하면 이전과 점대칭인 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정리] 반비례 그래프 $y= \cfrac{a}{x}$에 대하여

(1) a>0이라면 1,3사분면을 지남

(2) a<0이라면 2,4사분면을 지남

-> 공통수학2에서 다루는 유리함수는 대개 반비례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중1 수학에서 공부했던 반비례 그래프를 복습해둡시다.

유리함수의 정의역

공통수학에서 공부하는 유리함수는 대개 $y= \cfrac{ax+b}{cx+d}$꼴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분모가 0이라면 y값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유리함수의 정의역은 분모가 0이 되지 않는 모든 실수입니다.
= 분모를 0으로 만드는 값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값이 정의역입니다.

예) $f(x)=\cfrac{3}{x-2}$의 정의역은 분모가 0이 되는 $x=2$를 제외한 모든 실수입니다.

-> {$x$|$x \neq 2$인 모든 실수}

예) $g(x)=\cfrac{x+1}{x-3}$의 정의역은 분모가 0이 되는 $x=3$를 제외한 모든 실수입니다.

-> {$x$|$x \neq 3$인 모든 실수}

[정리] 유리함수의 정의역을 구하는 법

① 분모를 0으로 만드는 값을 찾는다.

② 그 값을 제외한다.

③ 나머지 모든 실수가 정의역이 된다.

유리함수의 점근선

유리함수는 그래프가 특정 직선에 가까워지지만 닿지 않습니다. 이처럼 함수가 끝없이 가까워지는 선을 점근선이라고 합니다.


점근선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x축과 나란한(혹은 일치하는) 점근선 : 분모가 0이 되는 x값 → $x=a$꼴로 표기

y축과 나란한(혹은 일치하는) 점근선 : $x$이 끝없이 커질 때/끝없이 작아질 때 함숫값의 한계 → $y=b$꼴로 표기

예) $f(x)=\cfrac{2}{x-1}$의 점근선을 구해봅시다.

(1) x축에 나란하는(혹은 일치하는) 점근선: 분모가 0이 되게 하는 x의 값이므로 $x-1=0$, $x=1$입니다.

(2) y축에 나란하는(혹은 일치하는) 점근선: x가 끝없이 커질 때/작아질 때 y의 값이므로 이때 y는 0에 가까워집니다. 따라서 $y=0$입니다.

[정리] 유리함수의 점근선을 구하는 법

  • $y=\cfrac{a}{x-b} + c$에 대하여 $( a \neq 0 )$
  • 유리함수의 점근선은 $x=b, y=c$입니다.

유리함수의 그래프 그리는 법

유리함수 그래프를 그리려면

점근선을 먼저 그리고, 그 주변에서 그래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두 단계로 나누어 생각합니다.

앞서 나누었던 반비례 함수 $y=\cfrac{1}{x}$ 그래프가 1사분면, 3사분면을 지나고 원점으로부터 점대칭 위치에 있는 함수(기함수)라는 점을 이용합시다.

이 함수를 x축 방향으로 a만큼, y축 방향으로 b만큼 이동하면,
\[
y=\frac{1}{x-a}+b
\]
가 됩니다.

이 유리함수의 점근선을 구하면 $x=a, y=b$입니다.

두 점근선을 먼저 그리고 개형을 그리면 유리함수를 그릴 수 있습니다.

예)

유리함수 식을 변형하여 점근선을 알아봅시다.

$y = \cfrac{4x+2}{2x+2}$는 $y = \cfrac{2(2x+2) -2 } {2x+2}$로

$y = 2 – \cfrac{2}{2x+2}$ = $y = 2 – \cfrac{1}{x+1}$입니다.

따라서 $y= – \cfrac{1}{x}$을 x축 방향으로 -1만큼, y축 방향으로 2만큼 이동한 모습입니다.

$x= -1, y= 2$를 각각 점근선으로 갖도록 긋고, 기본형이 $y= – \cfrac{1}{x}$이므로 점근선으로부터 2사분면, 4사분면 방향으로 선을 그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학습지 살펴보기

14번 점근선이 x=1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 x=-1이 바른 표현입니다.

공통수학2-유리함수의-그래프
samnasam

Recent Posts

식을 세워 평균 구하기 | 초5-2 수학

평균이란? 평균은 여러 수나 자료를 고르게 만들었을 때 값입니다. 4, 4, 10, 6처럼 자료에 수가…

21시간 ago

짝 지어 평균 구하기 | 초5 수학 평균과 가능성

평균의 의미 평균은 자료를 대표하는 값 중 하나로 여러 수를 한데 모아 고르게 나타내었을 때…

23시간 ago

[초3 수학] 그림그래프 그리기

그림그래프를 그려볼까요 그림그래프는 여러 가지 자료를 쉽고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크고 작은 ‘그림’을 이용해…

3일 ago

유리식의 계산 – 유리식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문제, 공통수학2

유리식의 의미 유리식은 두 다항식 A,B에 대하여 $\cfrac{A}{B}$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말합니다.즉, $ \dfrac{식}{식}…

4일 ago

중3 복잡한 인수분해 연습문제

복잡한 식 인수분해하기 중3 인수분해 유형 중 식이 다소 복잡한 유형을 연습하고 싶다는 분이 계셔서…

4일 ago

초1-2 덧셈 문제 | 수 모형을 보고 덧셈 연습하기 수학공부 초등수학

수 모형을 보고 덧셈하기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6.덧셈과 뺄셈(3) 단원에서는 수 모형을 이용하여 덧셈을 이해하는…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