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목차

초1-1 수학 목차,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교과서 차례

초1-1 수학 목차에서 원하는 단원을 누르면 이동합니다.

1. 9까지의 수

[주요 차시]

  • 1, 2, 3, 4, 5를 알아볼까요
  • 6, 7, 8, 9를 알아볼까요
  • 순서/수의 순서를 알아볼까요
  • 1만큼 더 큰 수/작은 수를 알아볼까요
  • 0을 알아볼까요
  • 수의 크기를 비교해볼까요

1단원 ‘9까지의 수’는 0부터 9까지의 자연수 개념을 익히며 초등 수학의 기초를 다지는 단원입니다. 처음에는 1부터 5까지, 이어서 6부터 9까지 세어 보며 각 수를 쓰는 방법과 읽는 법을 이해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후 수의 순서를 익히는 과정에서는 1부터 9까지 수의 순서를 파악해보며 수의 계열을 학습합니다.

또한 1만큼 더 크거나 작은 수를 찾아보며 수의 순서를 익힙니다.

예) 5보다 1큰 수는 6, 5보다 1작은 수는 4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의 순서가 4,5,6임을 익힐 수 있습니다.

아울러 ‘0’이라는 수가 가지는 의미를 배우면서 수가 ‘없음’을 나타낼 수 있음을 배웁니다. 마지막으로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학습을 통해 어떤 수가 더 크고 작은지를 판단합니다.

2. 여러 가지 모양

[주요 차시]

  • 여러 가지 모양을 찾아볼까요
  • 여러 가지 모양을 알아볼까요
  •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 볼까요
  • 모양 찾기 놀이를 해 볼까요

2단원 ‘여러 가지 모양’에서는 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입체 모양을 찾아보고 익히는 활동을 합니다. 상자처럼 네모난 모양(직육면체), 공처럼 둥근 모양(구), 둥근 기둥처럼 생긴 모양(원기둥) 등을 생활 주변에서 찾아보며, 서로 같은 모양인지 비교해 보는 공부를 합니다.

네모난 모양(직육면체) 둥근 모양(구) 기둥 모양(원기둥)

(사진 자료 출처: pixabay)

참고 2단원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수학인 만큼, 입체도형의 이름이나 성질을 자세하게 배우기보다는, 우리 주변에서 비슷한 모양을 찾아보고 같은 모양끼리 분류해 보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예) 우유곽, 선물 상자, 책상 서랍 등을 한 모양으로, 공, 탁구공, 구슬 등을 또 다른 모양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록이나 종이 상자, 휴지심 등을 이용해 여러 가지 모양을 직접 만들어 보면서 손으로 조작해봅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주변 사물을 단순한 물건이 아니라 ‘모양’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고, 나중에 고학년에서 배울 입체도형 학습의 기초가 됩니다.

3. 덧셈과 뺄셈

[주요 차시]

  • 모으기와 가르기를 해 볼까요
  • 덧셈을 알아볼까요 / 해 볼까요
  • 뺄셈을 알아볼까요 / 해 볼까요
  • 0이 있는 덧셈과 뺄셈을 해 볼까요
  • 덧셈과 뺄셈을 해 볼까요

3단원 ‘덧셈과 뺄셈’은 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기초 연산인 덧셈과 뺄셈을 처음 배우는 단원입니다. 먼저 모으기와 가르기 활동을 통해 수를 쪼개고 합쳐 보는 경험을 합니다. 사물이나 그림을 두 묶음으로 나누거나 다시 하나로 모아 보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 8을 가르면 4와 4로 가를 수 있습니다.

모으기와 가르기는 덧셈과 뺄셈 학습을 위한 발판이 됩니다. ‘모으기’는 두 수를 합하여 하나의 수로 만드는 과정이므로 덧셈으로 연결되고, ‘가르기’는 하나의 수를 두 부분으로 가르는 과정이므로 뺄셈으로 이어집니다.

이후에는 0이 포함된 덧셈과 뺄셈을 학습하면서 ‘0을 더하거나 빼도 수가 변하지 않는다’는 성질을 확인합니다. 마지막 차시에서는 여러 가지 덧셈과 뺄셈 문제를 해결해 보며 덧셈과 뺄셈의 원리를 정리하고, 일상생활 속 문제 상황을 통해 덧셈과 뺄셈을 적용해 봅니다.

4. 비교하기

[주요 차시]

  • 어느 것이 더 길까요
  • 어느 것이 더 무거울까요
  • 어느 것이 더 넓을까요
  • 어느 것에 더 많이 담을 수 있을까요

4단원 ‘비교하기’길이, 무게, 넓이, 들이와 같은 양을 직관적으로 비교해 보는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나 저울 등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기 전에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고, 들어 보며 두 사물의 양을 자연스럽게 비교해 봅니다.

예를 들어 두 연필을 나란히 놓아 어떤 것이 더 긴지 비교하거나, 가방과 풍선을 들어 보며 무엇이 더 무거운지 판단합니다. 저울에 두 물건을 올려놓고 어느 쪽이 기울어졌는지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넓이의 경우 종이 두 장을 겹쳐 놓아 어느 쪽이 더 넓은지 비교하고, 어떤 그릇이 더 많은 양을 담을 수 있는지도 탐색합니다.

이러한 비교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사물의 속성을 말로 표현하는 연습도 합니다.

예) 가방이 풍선보다 무겁습니다.

예) 흰 종이가 색종이보다 넓습니다.

와 같이 비교하기 문장을 만들어 보고 친구들과 나누어봅니다.

5. 50까지의 수

[주요 차시]

  • 9 다음 수를 알아볼까요
  • 십몇을 알아볼까요
  • 모으기와 가르기를 해 볼까요
  • 10개씩 묶어 세어볼까요
  • 50까지의 수를 세어 볼까요
  • 50까지의 수의 순서를 알아볼까요
  • 수의 크기를 비교해볼까요

5단원 ‘50까지의 수’에서는 9 다음의 수가 10임을 이해하고, 두 자리 수가 필요한 이유를 자연스럽게 떠올리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생들은 10이 하나의 새로운 단위가 된다는 사실을 통해 한 자리 수에서 두 자리 수로 확장되는 개념을 경험합니다.

‘십몇’을 학습하는 차시에서는 십의 자리에 1을 쓰고, 일의 자리에 해당 수를 적어 10보다 큰 수를 표현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이 과정에서 11, 12, 13과 같이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수를 쓰고 읽는 활동을 하며 두 자리 수의 구조를 이해합니다.

이어서 10개씩 묶어 세어 보는 활동을 통해 20, 30, 40처럼 ‘10이 여러 개인 수’를 나타내 보며 십의 자리 수가 갖는 의미를 배우게 됩니다. 블록이나 그림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로 묶어 보는 활동을 하며 수의 크기가 커지는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50까지의 수를 차례대로 세어 보고, 수의 순서를 익히며 1부터 50까지 이어지는 수의 계열을 이해합니다. 마지막으로 50까지의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어떤 수가 더 크고 작은지를 구해봅니다.

예) 30는 12보다 (큽니다,작습니다).

→ 30은 10이 3개인 수입니다.

→ 12는 10이 1개, 1이 2개인 수입니다.

따라서 30이 12보다 큽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초1-1 수학 목차,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 교과서 순서를 살펴보았습니다. 아이가 학교에 처음 가는 순간인만큼 미리 무엇을 배우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samnasam

Recent Posts

식을 세워 평균 구하기 | 초5-2 수학

평균이란? 평균은 여러 수나 자료를 고르게 만들었을 때 값입니다. 4, 4, 10, 6처럼 자료에 수가…

21시간 ago

짝 지어 평균 구하기 | 초5 수학 평균과 가능성

평균의 의미 평균은 자료를 대표하는 값 중 하나로 여러 수를 한데 모아 고르게 나타내었을 때…

23시간 ago

[초3 수학] 그림그래프 그리기

그림그래프를 그려볼까요 그림그래프는 여러 가지 자료를 쉽고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크고 작은 ‘그림’을 이용해…

3일 ago

유리함수의 그래프 | 공통수학2

유리함수란 유리함수는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분수 형태의 함수를 말합니다.즉,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f(x) = \frac{다항식}{다항식}\]…

3일 ago

유리식의 계산 – 유리식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문제, 공통수학2

유리식의 의미 유리식은 두 다항식 A,B에 대하여 $\cfrac{A}{B}$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말합니다.즉, $ \dfrac{식}{식}…

4일 ago

중3 복잡한 인수분해 연습문제

복잡한 식 인수분해하기 중3 인수분해 유형 중 식이 다소 복잡한 유형을 연습하고 싶다는 분이 계셔서…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