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 공부 중 시계를 읽을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몇 시 30분’입니다. 시계의 긴바늘이 6을 가리킬 때는 언제나 30분을 뜻하며, 짧은바늘은 몇 시인지 알려줍니다.
>>모양과 시각 단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1학년 2학기 수학 목차를 참고하세요.
그러나 실제로 학생들이 몇 시 30분을 읽을 때 ‘몇 시’인지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이 시계 공부 중 어려워하는 부분 중 하나가 이 차시입니다.
예) 3시 30분이라면 짧은바늘이 3과 4 사이에 놓여 있어 아이들이 ‘4시 아니야?’라는 생각이 들며 착각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몇 시 30분을 정확히 읽기 위해서는 긴바늘이 6을 가리키면 반드시 ‘30분’이라는 규칙을 먼저 익히고, 짧은바늘은 어느 숫자와 어느 숫자 사이에 놓여 있는지를 살펴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정리] 시계에서 짧은바늘은 ‘시’를 나타내고, 긴바늘은 ‘분’을 나타냅니다.
[정리] 긴바늘이 6을 가리키는 순간은 한 시간의 절반이 지난 상태이므로 30분입니다.
[정리] 몇 시 30분인 경우 짧은바늘 앞쪽에 있는 숫자를 읽습니다.
예를 들어 4시 30분이라면 긴바늘은 6, 짧은바늘은 4와 5 사이에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자주 하는 오류는 “짧은바늘이 5 쪽에 있으니까 5시겠지?”라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4시에서 5시로 가는 가운데에 있는 것이므로 여전히 ‘4시 30분’입니다.
예) 아래 시계는 몇 시 30분일까요?
긴바늘이 6을 가리키므로 ‘30분’입니다.
짧은바늘이 8을 지나 9로 가고 있으므로 8시입니다.
정답: 8시 30분
초1-2-3.-모양과-시각-몇-시-30분을-알아볼까요문제지
‘몇 시 30분’은 시계 읽기의 기본이 됩니다. 긴바늘이 나타내는 분과 짧은바늘의 위치 관계를 충분히 연습하면 몇 시, 몇 시 30분을 읽을 수 있습니다. 학습지를 통해 시각 읽기를 반복적으로 익혀봅시다.
유리함수란 유리함수는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분수 형태의 함수를 말합니다.즉,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f(x) = \frac{다항식}{다항식}\]…
유리식의 의미 유리식은 두 다항식 A,B에 대하여 $\cfrac{A}{B}$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말합니다.즉, $ \dfrac{식}{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