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는 분수와 마찬가지로 1보다 작은 양을 나타내는 수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에서는 그림을 이용해 소수를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처음 소수를 배울 때 많은 학생들이 숫자의 의미만 보고는 크기를 가늠하기 어려워하지만, 그림으로 몇 칸 색칠되어있는지 확인하면 소수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소수는 1을 10개의 같은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조각을 표현할 때 활용합니다. 1을 10개의 같은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하나를 0.1이라 하고, 조각이 2개면 0.2, 조각이 3개면 0.3으로 나타냅니다.
소수를 그림으로 나타낼 때 가장 먼저 알아야 할 점은 1 전체를 10개의 같은 크기 칸으로 나눈다는 점입니다. 각 칸은 0.1을 뜻하며, 그림 한 칸이 0.1이라는 원리를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리] 1을 똑같이 10으로 나눈 양을 분수로 나타내면 $$\frac{1}{10}$$입니다.
따라서 $\frac{1}{10}$과 0.1은 같습니다.
예) 0.3은 0.1이 3개 모인 수이므로 10칸 중 3칸을 색칠하면 됩니다.
예) 0.4는 0.1이 4개 모인 수이므로 10칸 중 4칸을 색칠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소수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소수가 몇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0.1, 0.2, 0.5처럼 단순한 소수는 그림으로 나타냈을 때 각각 1칸, 2칸, 5칸을 색칠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숫자만 보고 이해하기 어려운 학생들도 칸의 개수를 세는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소수 개념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소수인 0.1은 1을 똑같이 10칸으로 나눈 조각 중 1칸을 칠한 그림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0.2는 2칸, 0.4는 4칸, 0.9는 9칸을 칠하면 됩니다.
예) 0.6은 10칸 중 6칸이 칠해진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0.1이 6번 모인 양이라는 의미입니다.
소수는 그림을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0.1이 기본 단위이며, 소수는 그 조각이 몇 개인가를 중심으로 공부해봅시다.
유리함수란 유리함수는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분수 형태의 함수를 말합니다.즉,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f(x) = \frac{다항식}{다항식}\]…
유리식의 의미 유리식은 두 다항식 A,B에 대하여 $\cfrac{A}{B}$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말합니다.즉, $ \dfrac{식}{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