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유리함수
-
유리함수의 그래프 | 공통수학2
유리함수란 유리함수는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분수 형태의 함수를 말합니다.즉,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f(x) = \frac{다항식}{다항식}\] 분모가 0이 되는 값을 제외하고 정의되며, 이런 제한 때문에 그래프에서 ‘끊김’, 즉 점근선과 같은 특징이 나타납니다. 예)\[f(x)=\frac{2}{x},\quad g(x)=\frac{x+3}{x-1},\quad h(x)=\frac{4}{x^2+1}\]은 모두 유리함수입니다. 중학교 수학에서 학습한 반비례 그래프 $y = \cfrac{1}{x}$에서 비롯된 개형이 나타납니다. [참고] 반비례 그래프 그리기 $y= \cfrac{1}{x}$의 그래프를 그려봅시다.…
-
유리식의 계산 – 유리식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문제, 공통수학2
유리식의 의미 유리식은 두 다항식 A,B에 대하여 $\cfrac{A}{B}$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말합니다.즉, $ \dfrac{식}{식} $ 의 형태를 가진 식을 모두 유리식이라고 합니다. 위 식은 $\dfrac{3}{x+4}$과 $\dfrac{x+1}{x+3}$을 더한 식입니다. 예)$ \dfrac{2x+1}{3},\ \dfrac{x+1}{x-2},\ \dfrac{a^2-b}{b+3} $ 등은 모두 유리식입니다. [참고] 유리식은 다항식을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0이 아닌 다항식을 곱하거나 나누어도 값이 변하지 않습니다. 유리식의 덧셈 유리식의 덧셈은 분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