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 지어 평균 구하기 | 초5 수학 평균과 가능성

평균의 의미

평균은 자료를 대표하는 값 중 하나로 여러 수를 한데 모아 고르게 나타내었을 때 얼마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초등 5학년에서는 평균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해봅니다. 그 중 수들을 적절히 짝지어 고르게 만드는 과정이 있습니다.

우선 평균을 예상해보고 짝이 되는 두 수를 연결해봅니다. 모든 수가 짝지어진다면 해당 값이 평균이 됩니다.

예) “10, 10, 12, 8”의 평균을 구해봅시다.

평균을 예상해봅니다. 가장 큰 값이 12, 가장 작은 값이 8이므로 평균은 10으로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짝을 지어봅니다. 10은 예상한 평균과 같으므로 제외하고 12의 짝은 8입니다. 실제로 12는 10보다 2크고 8은 10보다 2 작으므로 짝으로 알맞습니다.
10, 10, (12, 8)로 짝지을 수 있으므로 자료를 고르게 나타내면 10이 됩니다. (=평균은 10입니다.)

짝을 지어 평균을 찾는 방법

‘짝을 지어 평균 구하기’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이루어집니다.

① 먼저 평균을 어느 정도일지 예상한다.

② 예상한 평균을 기준으로 숫자들을 짝지어 비슷한 합을 만들 수 있는지 본다.

③ 모든 수가 예상한 평균과 같거나 짝지어지면 그 수가 평균이다.

[문제] 다음 자료에서 평균을 예상하고, 평균을 구해 봅시다.

image 42

위 문제에서 자료의 최댓값은 84, 최솟값은 76입니다.

이를 제외한 82, 78, 80 중에 평균으로 예상할 수 있는 값은 80입니다.

예상한 평균을 80으로 놓고 짝을 지으면 80, (76, 84), (78, 82)로 놓을 수 있습니다.

** 76은 80보다 4 작고, 84는 80보다 4 큼

** 78은 80보다 2 작고, 82는 80보다 2 큼

[참고]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각 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편차)’를 계산하지 않습니다. 정수는 중1 수학에서 학습하므로 “78은 80을 기준으로 -2다.”로 지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참고] 대신 수들을 적절히 묶어 고르게 만드는 활동으로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학습지 살펴보기

초5-2-6단원-평균과-가능성-짝을-지어-평균-구하기
– 본 저작물(문제 및 도형 그림)은 학습지제작소에 있으며, 비상업적, 상업적 이용(수업에서 부교재로 사용하는 경우만)이 가능합니다.
– 다른 사진을 참조한 경우, 파일 마지막 페이지에 출처를 밝히고 있습니다.
– 저작물을 사용 시 출처를 밝힌 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셈나는교실(학습지제작소)의 저작물을 관리자의 동의없이 2차 배포하거나, 제 3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출판하는 행위(ISBN이 포함된 서적으로 출판)는 엄격히 금지합니다.
Copyright. 2025. 셈나는교실. All Rights Reserved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셈나는교실

초/중등 수학 무료 학습지 제공.